- MaS (Mumble and Softness)
- POCLANOS
- SEOUL MUSIC
- Anonymous Artists
- Rhythmer
- LEmag [HIPHOPLE]
- HIPHOPPLAYA
- [Instagram] - SEOUL MUSIC
- [Instagram] - Anonymous Artist…
- [Instagram] - Trash box
- [Facebook] - Jung hwan
- [Facebook] - Ju Eun
- [YouTube] - pylat
- [YouTube] - KIMDA
- [YouTube] - IlilNote
- [Playlist : 힙합 · 오버 힙합] - Alph…
- [Playlist : 알앤비 · 팝 힙합] - Geun…
- [Playlist : 알앤비] - essential;
- [Playlist : 재즈 · 재즈 힙합] - JAZZ…
- [Playlist : 재즈] - Jazz Editor
- [Playlist : 재즈 · 알앤비 · 소프트랩] -…
- [Playlist : 팝 · 소프트랩] - Mango …
- [Playlist : 얼터너티브 뮤직] - 𝐆𝐧𝐲𝐞𝐨
- [Playlist : POP · 팝] - ᴛᴀᴋᴇ ᴀ …
- [Playlist : POP · 팝] - UchooUc…
- [Playlist : 외국 힙합] - millionhi…
MaS (Mumble and Softness)
랩의 종류 (Types of Rap) 본문
목차 |
1. 랩의 요소 1) 라임 (Rhyme) 2) 플로우 (Flow) 3) 펀치라인 (Punch line) 2. 랩의 주요 종류 1) 랩 (rap) 2) 하드코어 랩(HardCore rap) - 하드코어 랩 · 갱스터 랩 - 포르노코어 랩 · 더티 랩 - 호러코어 랩 · 맴피스 랩 - 초퍼 랩 3) 팝 랩 (Pop rap) - 소프트 랩 (Soft rap) - 싱잉 랩 (Singing rap) 4) 클라우드 랩 (Cloud rap) 5) 멈블 랩 (Mumble rap) 6) 이모 랩 (Emo rap) [이모 랩 · 락 랩 · 펑크 랩 · 크렁크코어 랩] |
랩 뮤직을 그냥 힙합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랩 뮤직은 힙합 음악의 하나의 갈래로,
반복되는 비트를 배경음으로 깔고,
리듬에 맞춰, 가사(라임) 를 말하는 것이다.
랩은 창법을 말한다.
1. 랩의 요소
1) 라임 (Rhyme)
라임 (Rhyme)은 같거나 비슷한 발음을 반복하는 것을 말한다.
라임에는 한국에 경우,
단음절 라임이라 부르는 원시적인 라임인 완전각운(perfect rhyming),
자음이 다르지만 같은 모음으로 단음절 각운을 주는 모음운(assonance),
같은 자음으로 시작하는 두운(alliteration),
모음은 다르지만 자음이 같은 자음운(consonance)이 있다.
2) 플로우 (Flow)
플로우(Flow)는 단순한 낭독을 넘어 랩에 리듬감을 부여하는 모든 존재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앞서 언급된 라임 역시 플로우를 구성하는 가장 큰 요소 중 하나이다.
가사를 비트에 따라 내뱉는데 방식이 특유의 리듬감을 불러일으킨다면 그건 전부 플로우가 되는 것이다.
- 박자 (정박 beat · 엇박 Offbeat) : 비트를 정직하게 타면서 박자에 맞게 강세를 주거나, 정박이 아닌 반박 앞 뒤로 밀고 당기거나, 비트를 나누거나, 쪼개 타기도 한다.
- 미는 음(lay back) · 당기는 음(syncopation) : 싱잉랩(Pop rap)인 경우, 음을 정직하게 타거나 밀고 당기거나 음을 타지 않고 의도적으로 흘려보내는 등 음을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타면서 플로우를 형성한다.
- 발음 (diction) : 랩을 정확하게 전달하려면 발음(딕션)이 정확해야 한다. 다만 의도적으로 딕션을 뭉게는 스타일도 존재한다.
- 발성의 세기 (accent) : 발음을 강하게 혹은 약하게 내뱉으면서 변화를 주며 플로우를 형성한다.
- 호흡 (breathing) : 래퍼가 내뱉는 숨결 역시 플로우의 보조적인 구성요소다.
- 그루브 (groove) : 단순하게 정의내리기 어려운데, 흑인 음악인 소울에서 유래 된 특유의 흥을 돋구는 느낌을 그루브라고 부른다.
3) 펀치라인 (Punch line)
펀치라인(Punch-Line)은 마지막을 장식하는 부분,
가장 충격을 주는 마지막 부분을 가리키는 말이다.
즉 펀치라인을 통해 빵 터트리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펀치라인이란
'주먹으로 얻어맞는 듯한 기분이 들 정도로 강렬한 랩 라임' 을 뜻한다.
펀치라인은 힙합 음악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갖춰야할 부분은 아니다.
스윙스, 타블로, 블랙넛, 지코 정도를 제외하고 펀치라인에 중요점을 두는 래퍼도 없다.
국내힙합 최고로 평가 받는 버벌진트나 빈지노, 이센스도 큰 중요성을 두지 않는다.
2. 랩의 주요 종류
1) 랩 (rap)
반복되는 비트를 배경음으로 깔고 리듬에 맞춰 가사 라임을 플로우타며 말하는 것을 래핑이라고 한다.
라임 즉 주로 각운을 이루는 말을 플로우 타며, 리듬에 맞추어 음악적으로 발성하는 것을 랩이라 한다.
프로토 랩(Proto rap) [원형적 시초적 랩]은 George Russell (조지 러셀)의
1958년 뉴욕 재즈(Jazz) 앨범에 수록된 곡들 중,
Jon Hendricks (존 헨드릭스)는 현대 랩에 가까운 것을 녹음했다.
Gil Scott-Heron (길 스콧 헤론)은
Chuck D (척 디), KRS-One (KRS-원) 등 래퍼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힙합의 첫 MC로 인정받는 Coke La Rock (코크 라 록),
랩의 대부 Rudy Ray Moore (루디 레이 무어),
그리고 Grandmaster Caz (그랜드마스터 카즈)로 인해 발전했으며,
이후 더 복잡한 랩으로 발전했다.
그 후 현재 주된 보편적인 랩들의 스타일은
1980년대 중반, 미국에서 유행하여 파생되어온 스타일로, 당시 랩 뮤직은 춤추기 좋은 빠른 비트, 리듬타기 좋은 비트가 많았고, MC들의 래핑도 파워있고, 시원하며 멋진 스타일이었기 때문에 쿨 랩(cool rap) 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 대표적인 외국 아티스트 :
to be a lot..
- 대표적인 국내 아티스트:
to be a lot..
2) 하드코어 랩(HardCore rap)
특징은 직설적인 적날한 가사, 다소 과격하고 공격적인 가사, 사회비판적인 가사 등을 이용한 강단있는 래핑이다.
하드 코어 랩은 1980년대 이스트 코스트 힙합을 통해 개발된 힙합 음악이다.
Run-DMC (런-DMC), Schoolly D (스쿨리 디), Boogie Down Productions (부기 다운 프로덕션) 및 Public Enemy (퍼블릭 에너미)와 같은 아티스트가 개척했다.
미국에서는
하드코어 힙합(HardCore HipHop), 하드코어 랩(HardCore rap), 리얼리티 랩(Reality rap) 이라고도 한다.
하드코어 힙합의 하위 스타일로는 다음과 같다.
① 하드코어(HardCore), 갱스터 랩(Gangster rap)
하드코어 힙합 중에서 대표적인 랩이 갱스터 랩(Gangster rap) 이라고 할 수 있다.
1980년대 중반, Schoolly D (스쿨리 D), Ice-T (아이스 T)의 데뷔로
웨스트 코스트 힙합과 함께 탄생한 힙합이면서 이스트 코스트 힙합과의 대립을 통해 탄생한 힙합이다.
스쿨리 D는 이스트 코스트 래퍼이며,
아이스 T는 웨스트 코스트 래퍼이다.
갱스터 랩이라는 이름처럼 가사에는 조직폭력, 갱단 내 규율, 범죄, 마약이 주류지만,
의식 있는 갱스터 래퍼들은 빈민가의 잔인한 현실을 가사로 고발하거나 정부를 비판하기도 하며, 라이벌 갱단 간의 화해를 부르짖기도 한다.
영국에는 영국 갱스터 랩 또는 로드 랩(Road rap) 도 있다.
② 포르노코어(PornoCore), 더티 랩(dirty rap)
더티 랩, 포르노 랩, 섹스 랩 이라고도 불린다.
주로 노골적인 성적 주제를 중심으로 선정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가사는 노골적이고 사실적이며, 때로는 코믹하거나 불쾌할 정도이다.
③ 호러코어 랩(Horrorcore), 멤피스 랩(Memphis rap)
공포 힙합, 공포 랩, 데스 힙합, 데스 랩, 멤피스 랩 이라고도 불린다.
공포를 테마로 한 힙합 음악의 하위 스타일이며 어두운 컨텐츠와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다.
기원은 Geto Boys (게토 보이즈)와 같은 특정 하드코어 힙합 및 갱스터 랩 아티스트에서 파생되었다.
④ 초퍼 랩(Chopper rap)
초퍼는 미국 중서부에서 유래한 힙합 음악 스타일로 빠른 리듬이나 랩이 특징이다.
한국에서는 속사포 랩 이라고도 한다.
1990년대 초까지 캘리포니아와 뉴욕을 포함한 미국의 다른 지역으로 퍼져 나가며,
그 후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 대표적인 외국 아티스트 (하드코어 랩) :
Tupac Shakur (투팍 샤커), The Notorious B.I.G. [Biggie] (노토리어스 B.I.G. [비기]), Coolio (쿨리오), Geto Boys (게토 보이즈), Kurupt (커럽트), The Game (더 게임), Lil' Kim (릴 킴), Big L (빅 L), Snoop Dogg (스눕 독), Eazy-E (이지 이), Schoolly D (스쿨리 D), Ice-T (아이스 T), Spice 1 (스파이스 1), Wu-Tang Clan (우탱 클랜), 50 Cent (50 센트), Ja Rule (자 룰), 21 Savage (21 새비지), Fat Joe (팻 조), Jay Rock (제이 락), ScHoolboy Q (스쿨보이 큐), Young Thug (영 서그), Bobby Shmurda (바비 쉬멀다), Mobb Deep (맙 딥), Tay-K (테이 케이), 6ix9ine (식스나인), Soulja Slim (솔자 슬림), Freddie Gibbs (프레디 깁스), Dr. Dre (닥터 드레), Ice Cube (아이스 큐브), Rick Ross (릭 로스), Eminem (에미넴), DMX, N.W.A, NF 등
- 대표적인 국내 아티스트 (하드코어 랩) :
드렁큰타이거, 타이거JK, DJ 샤인, 피타입, 데프콘, 도끼, 제시, 사이먼 도미닉, 스윙스, 이센스, 베이식, 타이미, 매드 클라운, 아이언, 나플라, 저스디스, 쿤디판다, 신스, 조광일, 에이체스, 김재욱 등
3) 팝 랩 (Pop rap)
팝 랩은 랩 뮤직의 랩(Rap)과 팝(Pop)이나 알앤비(RnB)를 융합한 음악 스타일이다.
미국에서는 팝 힙합(Pop HipHop), 팝 랩(Pop rap) 이라고도 한다.
1990년대부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지만,
팝 랩의 영향과 뿌리는 Run-DMC (런 DMC), LL Cool J (LL 쿨 J), Beastie Boys (비스티 보이즈)와 같은 1980년대 후반 힙합 아티스트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가사는 팝이나 알앤비에서 들리는 것과 유사한 후렴으로 가벼운 선율을 가지고 있다.
팝 힙합의 하위 스타일로는 다음과 같다.
① 소프트 랩(Soft rap)
특징은 보편적으로 비트나 R&B적 요소의 음악에 부드럽게 말하는 듯한, 말을 전하는 듯하면서 플로우 타는 래핑이다.
미국의 P.M. DAWN, LL Cool J, The Hauser Project 의
음악들은 대표적인 소프트랩이라는 정의를 가져다주었다고 볼 수 있다.
그 후 Drake, Mac Miller, Snøw, Fudasca, Powfu, Dane Amar 등이 등장하였다.
소프트 랩(Soft rap)은
R&B(컨템퍼러리 알앤비, 힙합소울), Jazz(재즈)와 랩 뮤직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탄생한 스타일이라고 보는 의견도 있다.
한국의 경우, 소프트랩은 2000년대 초반에 윤미래, 프리스타일(미노, 지오)의 노래들이 대중들에게 큰 영향을 주면서 기존의 강하고 반항적인 랩에서 소프트랩 이라는 스타일을 개척했다.
이 영향은 2010년대 들어 헤이즈라는 가수에게도 영향을 끼쳤으며,
헤이즈뿐만 아니라 개리, 빈지노, 로꼬, 긱스 (릴보이, 루이), 샘옥, Ph-1 등은 힙합 리스너의 인정과 대중들의 감성을 자극하는 소프트랩을 잘 구사하는 래퍼로 자리잡았다.
그 후 줍에이 등이 등장하며 소프트랩은 하나의 스타일로 자리 잡았다.
소프트 랩(Soft rap), 재즈 랩(Jazz rap), 얼터너티브 랩(Alternative Rap)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 대표적인 외국 아티스트 (소프트 랩) :
P.M. DAWN (피엠 던), LL Cool J (LL 쿨 J), The Hauser Project (더 하우저 프로젝트), DJ Jazzy Jeff & The Fresh Prince (DJ 재지 제프 & 더 프레시 프린스), Snoop Dogg (스눕 독), Drake (드레이크), Nelly (넬리), Mac Miller (맥밀러), Snøw (스노우), fudasca (푸다스카), Powfu (포후), Dane Amar (데인 아마르), Magnetic North (마그네틱 노스), Nishihara Kenichiro (니시하라 켄이치로), Tunjl (툰지), Taiyo Na (타이요 나), Robert de Boron (로버트 드 보롱), mickey cho (미키 조), CHIKA (치카), Noname (노네임) 등
- 대표적인 국내 아티스트 (소프트 랩) :
윤미래, 프리스타일, 리쌍, 에픽하이, 재지팩트, 긱스, 미노, 지오, 개리, 타블로, 미쓰라, 스윙스, 빈지노, 릴보이, 루이 (황문섭), pH-1, 로꼬, 헤이즈, 샘옥, 올티, 한해, 원슈타인, 줍에이, 이영지, 언쿨클럽, 시로스카이, 고은이 등
② 싱잉 랩 (Singing rap)
특징은 말 그대로 랩 가사에 멜로디를 얹어 흥얼흥얼 노래하는듯 한 느낌의 래핑이다.
미국의 2000년대 후반부터 많은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미국에서는
멜로딕 힙합(Melodic HipHop), 멜로딕 랩(Melodic rap) 이라고도 한다.
싱잉랩 스타일의 노래를 들으면 이게 RnB인지, Pop인지, Rap인지 구별이 안 간다.
쉽게 말하면 랩인지, 노래인지 구별이 안 되면 싱잉랩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실제로 알앤비(R&B) 싱어들이 싱잉랩을 구사하기도 한다.
해외에서는 Pharrell Williams (퍼렐 윌리엄스), Chris Brown (크리스 브라운), The Weeknd (위켄드)
등이 일찍이 시도한 바 있다.
국내에서는 크러쉬, 헤이즈, 트웰브, 박재범, pH-1, 그레이 등이 유명하다.
싱잉 랩(Singing rap)은
R&B(네오소울), POP(팝)과 랩 뮤직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그 경계선상에 새롭게 등장한 스타일이라고 보는 의견도 있다.
에드 시런 같이 흑인 음악과 전혀 접점이 없어 보이는 가수들도 싱잉랩을 하는 등 점점 랩과 노래의 경계가 불분명해지고 있다.
- 대표적인 외국 아티스트 (싱잉 랩) :
Bone Thugs-N-Harmony, 6ix9ine, Desiigner, Drake, Ed Sheeran, Kevin Gates, Lil Uzi Vert, Lil Wayne, Lil Yachty, PARTYNEXTDOOR, Pop Smoke, Post Malone, T-Pain, The Kid LAROI, The Pharcyde, Travis Scott, Juice WRLD, Quavo, Swae Lee, Young Thug, XXXTENTACION, YNW Melly, Don Toliver, Ty Dolla $ign, 6LACK, A Boogie wit da Hoodie, Trippie Redd, Roddy Ricch, Gunna, Lil Durk, Future, Jaden, Tory Lanez, Tobi Lou, Bryson Tiller, NAV, The Weeknd, Lil Nas X, Lil Skies, Lil Tecca, Lil Tjay, Lil Peep, 24kGoldn, Rich Brian 등
- 대표적인 국내 아티스트 (싱잉 랩) :
헤이즈, 크러쉬, 기리보이, 릴보이, 루이 (황문섭), 박재범, pH-1, 자이언티, 그레이, 로꼬, 샘옥, 코드 쿤스트, 트웰브, 산이, 쿠기, 서동현 (빅나티), 미노이, 줍에이, 비오, 이영지, 릴러말즈, 키드 와인, 제이씨 유카, 해쉬 스완, 파테코, 원슈타인, 트레이드 엘, 박현진, 고은이 등
4) 클라우드 랩 (Cloud rap)
클라우드 랩은 구름처럼 느리고 몽환적인 비트나 그러한 비트에 흐느적거리는 듯하면서 둥둥떠있는 듯한 래핑이 특징이다.
클라우드 랩은 2000년대 후반 미국 남부 애틀랜타, 휴스턴, 멤피스에서 처음 나왔다.
미국에서는
클라우드 랩(Cloud rap), 트릴웨이브(Trillwave) 이라고도 한다.
리듬적으로, 로파이 (lo-fi) 음악 및 칠 웨이브 (chill-wave)와 유사하지만,
왜곡된 사이키델릭한 샘플링과 랩으로 구별된다.
대표적인 예로 A$AP Rocky (에이셉 라키)의 Peso나
오케이션의 Get That Money 같은 곡이 있다.
클라우드 랩의 특성상 어떤 곡이 바로 클라우드 랩이라 지칭하기는 어려우나 분위기를 따져
몽환적인 분위기나 느린 구름에 빠져드는 것 같은 느낌이 드는 곡들을 클라우드 랩이라 칭한다.
짧게 설명하면 힘 없는 목소리로 질질 끌거나 루즈한 느낌이 나게 흘러가는 플로우를 지닌 것들을 말한다.
- 대표적인 외국 아티스트 (클라우드 랩) :
cLOUDDEAD, Viper, A$AP Rocky, Lil B, Clams Casino, Aminé, 21 Savage, Yung Lean, Lil Skies, Yung Pinch, Post Malone, Playboi Carti, NOK from the Future, Drain Gang, Bladee, Ecco2k, Thaiboy Digital 등
- 대표적인 국내 아티스트 (클라우드 랩) :
빌 스택스 (BILL STAX), 오케이션 (Okasian), 디보 (Dbo), 씨잼 (C JAMM), 졸피 (Zol P), 재키와이 (Jvcki Wai), 네스 (NESS · YNL), 추 (Choo) 등
5) 멈블 랩 (Mumble rap)
특징은 중얼중얼 거리는 느낌 또는 혼잣말하는 듯한 느낌의 래핑이다.
2010년대 초반, 미국 남부 애틀랜타에서 시작 된 스타일로,
미국에서는
멈블 랩(Mumble rap), 사운드클라우드 랩(SoundCloud rap) 이라고도 한다.
정의 자체도 모호하고 종류도 너무나 많아서,
어떤게 멈블이고 어떤게 멈블이 아니다라고 정확히 정하기는 어렵다.
멈블 랩은 크게 두 가지의 느낌의 스타일을 갖고 있다.
멈블이라는 뜻 그대로 혼잣말하는 중얼거리는 느낌의 래핑,
오토툰을 과하게 의존하거나 사용하여 발음이 흐리고 다 뭉갠 느낌의 래핑이 있다.
카디널 타임즈의 Oscar Harold(오스카 해럴드)는 Future(퓨처)와 같은 래퍼들이
중얼거리기보다는 오토튠과 같은 보컬 효과에 더 의존한다고 주장하면서 멈블 랩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킨다고 말했다.
21 Savage(21 새비지)는 발음을 일부러 뭉개지는 않지만 중얼중얼 랩을 하는 경우도 있고,
Future(퓨처)나 Desiigner(디자이너)는 턱관절을 뺀 것처럼 흐물흐물하게 발음을 다 뭉개서
랩을 하는 경우도 있다.
멈블링 기법은 대부분 트랩 비트에 사용된다.
그리고 트랩은 미국 남부, 조지아 주의 애틀란타를 중심으로 성장해온 음악이다.
애틀란타 흑인 커뮤니티 방언의 특징은 첫발음을 강조하며
동시에, 뒤에 이어지는 발음을 지나치게 흘리는 것이다.
또한 모음의 발음을 매우 간결화하며 억양의 높낮이가 심하고 매우 빠르게 말하기 때문에 타지역 미국인은 못 알아 듣는 경우가 많다.
- 대표적인 외국 아티스트 (멈블 랩) :
Mac Miller, 21 Savage, Desiigner, Germ, BlocBoy JB, Chief Keef, Doja Cat, Famous Dex, Future, Kodak Black, Migos, Lil Mosey, Lil Peep, Lil Pump, Lil Skies, Lil Uzi Vert, Lil Wayne, Lil Xan, Lil Yachty, Lil Baby, Playboi Carti, Rich the Kid, Smokepurpp, Soulja boy, Trippie Redd, YBN Nahmir, Young Thug, 6ix9ine 등
- 대표적인 국내 아티스트 (멈블 랩) :
사이먼 도미닉 (Simon Dominic), 기리보이 (GIRIBOY), 우원재 (Woo), 해쉬 스완 (Hash Swan), 쿠기 (Coogie), 소금 (sogumm), 키스 에이프 (Keith Ape), 브라이언 체이스 (Bryan Chase), 윤훼이 (YUNHWAY), 유시온 (Yuzion), 키드밀리 (Kid Milli), 오르내림 (OLNL) 등
6) 이모 랩 (Emo rap)
특징은 흐느끼다가 갑자기 소리를 꽥 하는 듯한 느낌 또는 울부짓는 듯한 느낌의 래핑이다.
2010년대 중반 미국에서 유래되었다.
미국에서는
이모 힙합(Emo HipHop), 이모 랩(Emo rap), 세드 랩(Sad rap)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부분 이모(emo), 락(Rock), 펑크(Punk), 크렁크(Crunk), 헤비메탈(Heavy meta), 스크리밍(Screaming) 사운드가 결합된 힙합 스타일을 한국에서는 이모 랩 (Emo rap)으로 분류하는 게 일반적이다.
emotional 혹은 emotive의 준말로서,
emo의 뜻은 자기자신이 가지고 있는 감정, 감성을 있는 그대로 표출해 내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이러한 감정의 직접적인 표출은 기쁨이나 즐거움 같은 긍정적인 감정이 아니라
주로 "억눌려 있던 감정" 인 우울, 절망, 증오, 분노, 고독, 불안, 자기비하, 허무주의와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해내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유사 스타일인 락 랩(Rock rap), 펑크 랩(Punk rap), 크렁크코어 랩(CrunkCore rap)도 있다.
- 대표적인 외국 아티스트 (이모 랩) :
Lil Peep, Yung Lean, Lil Uzi Vert, Drain Gang, Bladee, Ecco2k, Thaiboy Digital, Cold hart, Lil Yachty, Lil Skies, Lil Tjay, Post Malone, XXXTENTACION, Trippie Redd, The Kid LAROI, iann dior, 24kGoldn, Machine Gun Kelly, blackbear, Glaive, ERICDOA, Nothing.Nowhere, MOD SUN, SUECO, LIL HUDDY, Gayle, YUNGBLUD, 44phantom, CALL ME KARIZMA, LIL LOTUS, BONES, Ghostemane, Lil Tracy, Dro Kenji 등
- 대표적인 국내 아티스트 (이모 랩) :
창모, 식케이, 빈첸, 애쉬 아일랜드, 아우릴고트, 씨잼, 스키니 브라운, 블루, 예스코바, 용용, 재하, 김승민, 한요한, 클라우드 베이, 퓨쳐리스틱 스웨버, 캐빈 고스트, 고야 등
다른 글 보기
- 힙합, 랩 뮤직 : Hip hop and Rap music is
- 알앤비 : Rhythm and blues, R&B is
- 블랙 뮤직 : Black music is
- 얼터너티브뮤직 : Alternative · Indie · Underground Music is
출처: MaS (Mumble and Softness) | Facebook
MaS (Mumble and Softness) | Facebook
[한국어 / Korean] - 정보 : 흑인음악인 힙합 (언더그라운드 힙합 - 랩, 소프트랩, 멈블랩, 싱잉랩) · 알앤비 (네오 소울, 힙합 소울, 얼터너티브 알앤비)를 위주로 한 지역 크루 - 창설 : 2009년 10월 -
www.facebook.com
'Music [전체공개] > Hip Ho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힙합 개요 (Korean hip hop is) (0) | 2021.11.27 |
---|---|
힙합 랩 뮤직의 기본 용어 (0) | 2021.11.26 |
랩 뮤직의 기초상식 (Rap music is) (0) | 2021.06.27 |
힙합의 기초상식 (Hip hop is) (0) | 2021.06.27 |
힙합과 랩 뮤직의 기초상식 (Hip hop and Rap music is) (0) | 2021.06.27 |